일러두기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마트폰 손동작 = 터치 제스쳐(Touch Gesture) 별도의 마우스가 없는 스마트기기는터치 손동작(특히 손가락)으로 소통하는데 이를 터치제스쳐라고 합니다. “말을 타고 가다 방향을 바꾸려면 고삐를 살며시 당기면서 체중이 앞으로 쏠리지 않게 중심을 유지하고 다리는 말의 배를 감싸 안은 상태에서 바깥쪽(회전하려고 하는 방향의 반대쪽) 고삐도 느슨해 지지 않도록 해야” 한답니다. 말과 내가 소통하며 일심동체로 방향 바꾸기를 성공하는 방법인 거 지요. 이때 말과 사람은 서로 소통하고 교감하는 상호작용(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가운데서 목적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매개UI로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제스처와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는 AI 음성인식이 있습니다.스마트기기의 운영도 승마와 같아서 의사와 소통, 조작과 명령이 자유롭.. 스마트폰 화면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스마트폰의 화면은 터치스크린 패널(TSP:Touch Screen Panel,)이고 구역에 따라 상태 표시줄, 홈화면, 엣지메뉴, 홈 화면수, 독바, 내비게이션 바 등으로 부름니다. 하루 평균7시간을 스마트폰 들여다 보는데 사용한다 (“2022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발표)지만 스마트폰의 화면 구성이나 구조 그리고 각종 창들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이 우리네 관행(습관적행동)입니다. “홈 화면에서 상태표시줄을 쓸어 내린 다음 맨 좌측 톱니바퀴모양의 설정아이콘을 선택하세요!”이 말대로 지금 스마트폰을 바로 꺼내서 설정 화면까지 접근할 수 있다면 상태표시줄이 어느 부분인지 이해하시는 거 맞습니다. (1) 상태 표시줄상태표시줄은 전화기 화면 맨 위에 한 줄로 표시된 것인데 .. 스마트폰, 개인정보보안이 필요해 !! "경찰 앱인줄 알았더니…도청하고 전화 가로채 보이스피싱” 경찰 애플리케이션(앱)을 사칭한 악성 앱을 피해자 휴대전화에 깔아 60억원대 사기를 벌인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범죄 조직원이 경찰에 적발됐다.(연합뉴스 임현순 기자, hyun@yna.co.kr 2023.3.22)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사이버수사국은 '폴-안티스파이 앱'을 사칭한 악성 앱으로 개인정보를 빼내고 보이스피싱에 이용한 중국인 콜센터 관리자 A(32)씨를 구속했다고 22일 밝혔다.경찰에 따르면 A씨는 2018년 10월부터 2019년 4월까지 남의 휴대전화 938대에 악성 앱을 설치하고 166명에게서 약 61억원을 가로채는 데 가담한 혐의(사기·정보통신망법 위반)를 받는다.폴-안티스파이 앱은 경찰청이 2014년 8월 제작해 2021년 12월.. e知苑은.... 어서 오세요,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율은 97%이고 70살 이상 노인의 80%가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합니다.(한국갤럽 2023 스마트폰 사용률 조사) 물론, 80% 모두가 ‘스마트하게’ 기기를 사용하는 건 아닐 겁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2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 의하면, 65살 이상 노령층의 디지털 기기 접근성은 96%(일반국민 100 기준)이나 기기 이용 역량은 일반인 평균에 비해 64.5%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바로 이부분에 "디지털 격차"가 있습니다. 스마트기기는 주로 젊은 세대인 얼리어답터(Early Adaptor)들에 의해 발전되었고 스마트기능들은 젊은 층 기준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노령층은 스마트기기에 어려워하면서 좌절하고, 결국 .. 이전 1 다음